티스토리 뷰

평생 학습/국어 공부

한글 맞춤법

바비다비다 2022. 6. 11. 10:00

목차



    728x90
    반응형

    * 사전 등재 순서

    국어사전찾기
    국어사전찾기

    자음: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모음: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ㅣ

    받침글자: 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ㅆㅇ ㅈ ㅊ ㅋ ㅌ ㅍ ㅎ  

     

    흡입량, 정답란: 한자음 '라, 랴' 가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자리에 올 경우에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아 본음대로 적는다. 흡입량, 정답란은 올바른 표기다.

    구름양, 칼럼난: 고유어나 외래어 뒤에 결합한 한자어는 독립적인 한 단어로 인식되어 두음법칙이 적용되므로 구름양, 칼럼난이 올바른 표기다.

     

    꼭짓점은 맞고 꼭지점은 틀린 표기다.

    딱따구리는 맞고 딱다구리는 틀린 표기다.

    화병이 맞고 홧병은 틀린 표기다.

    * 두 음절로 이루어진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는 사이시옷을 받쳐 적지 적는다. 그러나 두 음절로 된 한자어 중에서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등은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

     

    '남에게 존경 받는 사람이 돼라는 아버지의 유언'이라는 문장에서 밑줄 친 돼라는 틀린 표기다. '되라는'으로 고쳐야 한다.

     

    '-오'는 종결 어미로 문장의 끝에서만 쓸 수 있으므로 어떤 사물이나 사실 등을 열거할 때에는 연결 어미 '-요'를 써야 한다.

     

    '훗일[훈:닐]'은 '후(後)+일'이 결합한 한자어와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 앞말이 모음'우'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므로 사이시옷을 받쳐 적은 단어이다.

     

    순우리말 합성어 노래+말은 사이시옷을 받쳐서 노랫말로 적어야 한다.

     

    순우리말 합성어 순대+국은 사이시옷을 받쳐서 순댓국이라고 적어야 한다.

     

    한자어와 우리말 합성어인 하교+길은 앞말이 모음 'ㅛ'로 끝이 나고 뒷말의 첫소리 'ㄱ'이 된소리 [ㄲ]으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받쳐서 하굣길이라고 적어야 한다.

     

    '부스러기'는 '-거리다'가 붙을 수 있는 어근 '부스럭'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말이 아니다. '부스러기'는 '잘게 부서진 물건'을 뜻하는 말이다. '부스럭'과는 다른 의미를 지닌 별개의 어근이다. 

     

    '동그라미'의 어근 '동글'은 '-하다'가 붙을 수 있는 어근이다. 여기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이 아니므로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다.

     

    '삐죽'은 '-거리다'가 붙을 수 있는 어근이므로 '삐죽'에 '-이'가 결합한 것은 원형을 밝히어 '삐죽이'로 표기한다.

     

    '매미', '뻐꾸기'의 어근 '맴', '뻐꾹'은 '-하다'나 '-거리다'가 붙을 수 없는 어근이므로 [붙임]에 따라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다. 

     

    한글맞춤법
    한글맞춤법

    한글맞춤법이 이렇게 어려운 것이었다니... 흑흑흑

    그래서 포기할 순 없습니다.

    기필코!

    반응형

    '평생 학습 > 국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험에 나오는 한자  (0) 2022.06.16
    깨단하다 외  (0) 2022.06.15
    합격 사자성어  (0) 2022.06.10
    단어공부  (0) 2022.06.07
    표준발음  (0) 2022.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