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728x90
    반응형

    삼성전기, 첫 연매출 10조원 돌파

     

    삼성전기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연매출 10조 원을 돌파하며, 고부가가치 제품의 성장과 AI, 전장용 시장 확대를 중심으로 올해도 긍정적인 실적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전장용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서버용 기판 FC-BGA, AI 가속기용 기판 등 핵심 분야에서의 수요 증가와 설비 투자 확대가 실적 개선의 주요 동력이 될 전망입니다.


    삼성전기의 2024년 성과: 매출 10조 원의 의미

    1. 매출 및 영업이익 증가
      • 2024년 삼성전기는 매출 10조2,941억 원, 영업이익 7,350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15.8%, 11.3% 성장했습니다.
      • 특히 전장용 MLCC와 서버용 기판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이 매출 성장의 중심이 되었습니다.
    2. 사업 부문별 실적
      • 컴포넌트 부문(MFCC): 전장용 MLCC 공급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11% 성장.
      • 패키지솔루션 부문: 서버·네트워크용 FC-BGA 공급 확대로 24% 증가.
      • 광학솔루션 부문: 카메라모듈 수요가 소폭 감소했으나, IT 및 전장용 고사양 카메라모듈로 대응.

    삼성전기, 첫 연매출 10조원 돌파


    AI·전장 수요 증가…2025년 실적 기대감

    1. AI 서버 시장의 강세
      • AI 서버용 MLCC와 패키지 기판 수요가 급증하며, 삼성전기는 AI 가속기용 기판 개발에 적극 참여 중입니다.
      • 올해 AI 관련 매출 확대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며, 고온·고용량 제품 라인업 강화와 생산 효율성 증대가 기대됩니다.
    2. 전장용 시장의 성장
      • 자율주행 및 전기차 시장의 확대에 따라 전장용 MLCC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삼성전기는 EV 파워트레인용 고온·고압 MLCC 라인업을 확대하고, 해외 생산 기지 증설을 통해 생산 능력을 늘릴 계획입니다.
    3. 설비 투자 확대
      • 2025년에는 전장용 MLCC의 해외 생산 캐파 증설차세대 반도체 기판 기술 확보를 위해 전년 대비 설비 투자가 확대될 예정입니다.

    삼성전기, 첫 연매출 10조원 돌파


    삼성전기의 미래 전략: 고객 다변화와 고부가 제품 중심

    1. 고부가가치 제품 라인업 강화
      • 삼성전기는 AI 서버용 MLCC, 패키지 기판, 전장용 카메라모듈 같은 고부가 제품의 공급을 확대하며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 글로벌 고객사 다변화
      • 삼성전기는 글로벌 거래선을 확장하며, 전략 고객사와의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 특히 스마트폰, AI 서버, 전장 분야에서 주요 고객사와의 파트너십이 매출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3. 원가 경쟁력 확보
      • 제조 효율성 개선과 생산성 증대를 통해 원가 경쟁력을 높이고, 전반적인 수익성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삼성전기, 첫 연매출 10조원 돌파


    삼성전기 2025년 전망: "두 자릿수 성장 기대"

    삼성전기는 2025년 1분기 영업이익이 전 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AI 서버와 전장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은 삼성전기의 주요 실적 견인 요소가 될 것입니다.
    • 자율주행 기술 확산EV 시장 성장에 발맞춘 전장용 MLCC와 고사양 카메라모듈 공급 확대는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제공합니다.

    결론: 삼성전기의 투자 매력과 도전 과제

    삼성전기는 AI, 전장, 서버용 시장에서의 강점을 바탕으로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매출 10조 원 돌파와 고부가 제품 라인업 강화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하지만 글로벌 IT 시장의 부진과 원가 관리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삼성전기의 설비 투자 확대, 기술 개발, 고객 다변화 전략이 올해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